Think Patients First
Eisai는 전문의약품에서 일반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인간에게 희망을 심어 주는 좋은약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한국에자이는 우리 모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우수의약품 개발과 보급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자이는 우리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다양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Eisai는 전문의약품에서 일반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인간에게 희망을 심어 주는 좋은약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회적가치 실현 위한 협업 성과 인정받아지역사회 돌봄 중심의 치매생태계 구축 기여 >한국에자이(대표 고홍병)가 1일 서울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기념식'에서 사회적기업 협업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했다.이번 행사는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가 공동 주관했다.한국에자이는 치매 돌봄 체계를 강화를 통한 치매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노력하며, 사회적기업과 협력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했다.한국에자이는 치매생태계 영역에서 사회적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적자본을 창출해왔다.특히 치매 환자 및 가족 당사자를 중심에 두고 민산학연관이 협력하는 방식의 리빙랩을 주요 방법론으로 삼아, 치매리빙랩과 부천치매돌봄리빙랩, 치매카페 운영, 돌봄리빙랩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홍병 대표는 "이번 수상은 기업이 사회적기업과 함께 돌봄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적기업과 협력해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나가겠다"고 밝혔다.한국에자이는 인간중심헬스케어(hhc) 철학을 바탕으로 기업사회혁신을 전개하고 있으며, 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건강격차 해소와 치매 포용적 지역사회 조성을 주요 전략으로 추진 중이다.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 >
2025.07.042025 사회공헌기업대상지역사회발전 한국에자이(대표 고홍병·사진)가 ‘2025 사회공헌기업대상’ 지역사회발전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기업사회혁신 관점에서 돌봄리빙랩 활동을 펼치며 환자와 가족을 문제 해결의 주체로 바라보는 혁신 모델이 큰 주목을 받았다. 한국에자이는 ‘나이가 들어도, 질병이 있어도 활약하며 살 수 있는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 자본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돌봄리빙랩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 기관으로 치매리빙랩(D-LAB), 뇌전증리빙랩(Epil-LAB), 부천치매돌봄리빙랩 등을 운영 중이다. 환자 및 가족을 ‘경험전문가’로 정의해 전문가, 민산학연관과 함께 사회적 해법을 모색하는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전국 17개 기관과 협력하는 치매리빙랩 활동에서는 ‘치매환자 돌봄가족 자조모임 가이드북’ 발행과 치매카페(D-Cafe) 확대 등으로 지역 내 치매 돌봄거점 확충에 힘쓰고 있다. 뇌전증리빙랩 역시 ‘간질 NO, 뇌전증 YES’ 캠페인, 자조모임 운영, 정보 플랫폼 고도화 등으로 뇌전증 인식 개선과 정책 제안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고홍병 한국에자이 대표는 “앞으로도 환자와 가족이 경험전문가이자 사회혁신가로 활약할 수 있도록 동행하는 기업사회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국경제 김세훈 기자 sehun24@hankyung.com
2025.06.24사진 왼쪽부터 기장군치매안심센터 최병무 센터장, 이이장 이혜숙 대표, 한국에자이 서정주 이사, 한국리빙랩네트워크 송위진 정책위원장 한국에자이(대표 고홍병)가 치매 돌봄을 위한 새로운 지역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지난 14일 부산 기장군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증상 완화를 위한 정원치유 프로그램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협약식에는 한국에자이를 비롯해 이이장, 치매리빙랩 D-Lab, 기장군보건소 등이 참여했다.한국에자이는 이번 협약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 환자들을 위한 맞춤형 정원치유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한다.지역사회 기반의 치매 돌봄 활동으로 제안된 정원치유는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 자극과 정서적 안정 효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프로그램으로, 유럽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다.이번 프로젝트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주최하고 한국에자이가 참여한 ‘사회적경제 SE 브릿지’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한국에자이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춘 맞춤형 정원치유 프로그램의 추진·확산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번 정원치유 프로그램은 치매리빙랩 D-Lab을 플랫폼으로, 지역 중심의 돌봄 모델을 실험하고 확산하는 구조로 설계됐다.프로그램은 치매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 디자인, 커뮤니티 활동, 워크숍과 교육 등 다층적 접근이 포함돼 있으며, 기장군을 시작으로 전국 확대를 염두에 두고 운영된다. 기장군 치매안심센터에서의 정원치유 프로그램이 중요한 전략적 전환 실험으로 자리잡고, 이를 통해 향후 협업적 지역 돌봄 생태계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한국에자이 측의 설명이다.이날 협약식에서는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기조 강연을 진행했다. 성 선임연구위원은 돌봄 전환을 위해 지역 주체의 전략적 실험과 확산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성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협약식은 지속가능한 돌봄 전환을 위한 전략적인 지역 거점을 구축하는 자리“라며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한 돌봄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돌봄의 주체화 노력과 함께 다양한 주체 간 연계와 조직화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에자이는 이번 협약을 통해 정원치유 프로그램을 하나의 치매돌봄 모델로 발전시켜, 지속가능한 치매 돌봄 환경 구축에 기여할 방침이다.한국에자이 서정주 기업사회혁신 이사는 “치매에 걸려도 나답게 살아갈 수 있는 지역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포용적 사회를 위한 중요한 걸음”이라며 “기장군치매안심센터, 이이장, 치매리빙랩 등과의 협력을 통해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에 치매환자를 위한 정원치유 프로그램이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라포르시안 손의식 기자 pressmd@rapportian.com
2025.04.15